개발

Git이란?

긍.응.성 2020. 4. 13. 21:07
반응형

Git


1. Git 이란

  • 버전 관리 도구
  • 리눅스 창시자인 Linus Torvalds가 2005년 리눅스 커널 소스코드를 관리하던 BitKeeper가 상용으로 전환되어 버전 관리시스템을 직접 개발하였다.
  • 특징 및 장점
    • 빠른속도
    • 분산형 저장소 지원 (여러 명이 동시에 수정하는 환경에 적합)
    • 비선형적인 개발 (branch)
    • 완벽한 분산
    • 리눅스 커널 같은 대형 프로젝트에도 유용하다 (속도와 데이터 크기 면에서)

2. Git 설정과 명령어

- install and user configuration

Window 기준 git-scm.com에서 다운로드 후, git bash를 이용하여 user.name, user.email 설정
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OUR NAME"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YOUR EMAIL"

// 확인
$ git config user.name
YOUR NAME
$ git config user.email
YOUR EMAIL

- git init

  • Git 프로젝트를 생성한다
  • .git이 생성된다 (프로젝트와 버전 관리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)

- git status

  • 파일 상태를 확인한다

- Area

1) Git Directory

  •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객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곳 (.git)

2) Working Directory

  • 프로젝트의 특정 버전을 Checkout 한 영역 (현재 작업공간)

3) Staging Area(index)

  • 저장할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(.git/index)

- LifeCycle & 파일 관리 단계

1) Working Directory에서 작업하여 new file 혹은 changed file이 발생
2) commit 할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add 하여 스냅숏을 만든다 (git add).
3)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commit 하여 Git directory에 영구적인 스냅샷으로 저장한다 (git commit).

- 파일의 4가지 상태

1. Untracked

  • Git의 관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
  • git add를 통해 stage로 올리게 되면 git이 파일의 상태를 추적한다

2. Staged

  •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등록해 놓은 상태

3. Committed

  • 데이터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된 상태

4. Modified

  • 수정한 파일을 아직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은 상태

추가적인 Git 영역 참조

- git add

  • staging area에 추가할 파일을 지정

    git add (file path)...

  • 수정된 모든 파일을 추가 할 경우

    git add .

    git add -A

- git commit

  • commit - 현재까지의 작업을 git db(.git 파일)에 기록, 저장
  • 간단한 메시지를 남기며 커밋

    git commit -m "add README.md file"

    commit이 완료되었음을 확인
  • On branch master nothing to commit, working tree clean
  • 자세한 메시지를 남기며 커밋(multi line)

    git commit

    (message 입력 후 esc -> :wq -> enter)

  • commit 이후 git status로 파일 상태 확인

- git diff

  • working directory와 index를 비교한다

    git diff

  • 커밋 간 차이점을 비교

    git diff (commitA)..(commitB)

  • index와 HEAD를 비교

    git diff --staged

- git log

  • git commit history를 조회한다
  • 저장소의 시간순 커밋 히스토리

    git log

  • diff를 함께 보기

    git log -p

  • 히스토리 개수 지정

    git log -Number

  • 커밋 메시지 조화

    git log --grep keyword

  • 메시지 한 줄로 표시

    git log --oneline

  • 그래프 표현

    git log --graph

  • 그래프 + 한줄로 표현

    git log --oneline --graph

- git branch

  • 현 프로젝트를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, 실험, 버그 픽스를 하고 싶을 때 사용

  • 프로젝트에 대해 새로운 형상을 만드는 행동

  • index와 working directory의 파일들이 변경된 branch를 기준으로 switching 되며 HEAD가 가리키는 branch가 변경된다

  • branch 목록 확인

    git branch

  • branch 만들기

    git branch (branch_name)

  • branch 삭제하기

    git branch -d (branch_name) # merge 된 branch만 삭제

    git branch -D (branch_name) # branch 삭제

- git checkout

  • 지정한 브랜치로 변경

    git checkout (branch_name)

  •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그 브랜치로 변경

    git checkout -b (branch_name)

- git merge

  • branch를 합칠 때 사용
  • merge 하기

    git merge (target_branch_name)

  • 코드가 반영될 branch에서 merge를 수행해야 한다

- Fast-forward merge

  • 현재 브랜치의 커밋이 변경이 일어난 브랜치의 base commit과 동일한 경우

  • 현재 브랜치의 HEAD를 target-branch의 HEAD로 이동시켜주는 것

  • fast-forward merge가 안 되는 경우 (base commit이 다른 경우) 3-way merge 사용

- 3-way merge

  • 두 브랜치 간 공통의 parent commit을 이용하여 변경된 순으로 merge 수행
  • merge의 결과를 별도의 commit object로 저장
  • 코드가 반영된 branch가 바라보는 commit을 새로 만들어진 commit으로 변경한다
  • 이때 만들어진 commit을 merge commit이라 명명한다

- git rebase

  • 지정한 target branch의 base commit을 기준으로 현재 branch의 base commit을 변경
  • 내부적으로는 base commit을 기준으로 현재 branch에서 추가된 변경을 하나씩 적용
  • merge와 log history 자체가 변경되기 때문에 항상 좋다고 판단할 수 없다
    • base commit 을 기준으로 커밋을 새롭게 만들기 때문에 상당한 conflict 상황이 발생 가능
    • 작업 history가 유지되지 않게 되므로 작업 이력이 중요한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음
    •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게 되면 작업 순서가 꼬여서 더 힘들 수 있다

3. GitHub

  • git 원격 저장소를 호스팅 해주는 서비스
  • 차별화된 이유로는 저장소 fork기능이 있다 (사실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더 쓴다)

- git remote

  • 원격 저장소 추가

    git remote add (remote alias) (remote url)

  • 원격 저장소 상세정보 확인

    git remote show (remote alias)

  • 원격 저장소 alias 변경

    git remote rename (old_name) (new_name)

  • 원격 저장소 url 변경

    git remote set-url (remote alias) (new remote url)

  • 원격 저장소 목록 확인

    git remote -v

- git push

  • 원격 저장소에 branch의 내용을 업로드(push)한다

    git push (remote) (remote branch_name)

- git clone

  • 이미 존재하는 저장소를 받아온다
  • 사용 예시
    • 이미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어 remote repository가 존재하는 경우
    • 새로운 개발장비에 개발 환경을 세팅해야 하는 경우
    • 현재 작업 중인 directory 외에 프로젝트를 복사하고 싶은 경우
  • remote 저장소를 local에 clone 하기

    git clone (remote_url) [directory name] -b [branch name]

    directory_name 생략 시 remote repository 명으로 생성

    branch_name 생략 시 default branch로 받아옴

- git fetch

  • remote 저장소에 추가된 object 들을 받아와서 local에 저장한다

    git fetch (remote) (remote branch)
    git fetch origin master

- git pull

  • remote 저장소에 추가된 object 들을 local로 받아오면서 merge까지 수행한다 (fetch + merge)

    git pull (remote) (remote branch):(local branch)

    git pull origin master:master

    git pull origin master

- pull request

  • 프로젝트 혹은 fork 한 프로젝트에서 branch를 생성하여 개발한 기능을 origin 저장소에 merge 시켜달라고 요청하는 것
  • origin 저장소 관리자가 요청자의 commit에 대한 comment를 통해 review 하거나 reject 할 수 있다

4. Tips

- .gitignore

  • 필요한 소스와 설정만 관리하고 싶을 때 local환경을 위한 설정 파일들은 제외시킬 수 있다.
  • https://www.gitignore.io/ - OS, IDE,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.gitignore 생성 가능

- .gitingore 를 설정하지 않고 이미 관리할 필요 없는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올린 경우

  • git에서 관리하지 않아도 되는 파일을 이미 올린 경우

    git rm --cached

    git rm -r --cached some-directory

    git commit -m 'Remove ignored directory'

    git push origin master

  • cached를 붙이면 local에 있는 파일과 폴더들은 그대로 놔두고 원격 저장소에 있는 것들만 지우게 된다.

- non-fast-forward push 거부 해결하기

  • remote branch에 새로운 커밋이 추가된 경우
  • git push -f옵션으로 강제로 remote branch가 변경된 경우

1) git pull origin master를 통해 local에 다른 사람의 작업을 merge 시킨 후 push
2) fetch를 통해 데이터를 들고 온 후 rebase 시킨 후 push

- github 커밋 되돌리기

  • 커밋 메시지 변경

    git commit --amend

  • Working tree를 유지하며 되돌리기 (--mixed)

    git reset <commit>

  • Working tree, index(staging area)를 유지하며 되돌리기

    git reset --soft <commit>

  • Working tree, index 모두 되돌리기

    git reset --hard <commit>


참고자료

반응형